기록물관리사

요약
하는일영구기록물이나 역사적 가치가 있는 기록물을 평가하고 편집하며, 기록물에 기초한 조사활동에 참여하고 기록물과 기록 자료의 안전한 보존을 감독한다.
되는길기록물관리사가 되기 위해서는 기록물관리학, 역사학, 문헌정보학 등을 전공해야 한다. 기록물관리 전문인력 양성과 지원을 위한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으로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사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기록물관리학석사학위 이상, 혹은 역사학 또는 문헌정보학의 경우 학사학위 이상을 취득하고 행정자치부령으로 정하는 기록물관리학 교육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기록물관리사는 공공기관, 기업 및 연구소 등에 진출하며, 기록물관리사 혹은 행정업무 중 기록물관리를 담당하는 업무로 채용된다. 국공립 기관에서 근무하는 사서 및 기록물관리사는 공무원이므로 공무원의 승진 체계를 따른다. 이들 중에는 전문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대학원에 진학하는 사람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기록물관리사는 각종 전자 자료를 포함한 기록물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전문성과 객관적 판단 능력이 필요하다. 특히 공공기록 관리업무를 하는 경우 업무 중 접한 관련 정보를 누설하지 않는 도덕성과 정직성, 일에 대한 자부심도 필요하다.
전공문헌정보학과
문화·민속·미술사학과
역사·고고학과
철학·윤리학과
자격기록물관리전문요원(국가전문)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300만원, 평균(50%) 3626만원, 상위(25%) 3833만원
만족도73.1
일자리전망증가(64%) 현상유지(28%) 감소(8%)
업무수행능력재정 관리(100)/물적자원 관리(100)/신체적 강인성(100)/범주화(99)/움직임 통제(99)
지식역사(100)/사무(97)/철학과 신학(87)/국어(84)/법(82)
업무환경공문, 문서 주고받기(87)/이메일 이용하기(86)/앉아서 근무(86)/균형을 유지하기(83)/전화 대화하기(82)
성격사회성(79)/정직성(75)/협조(74)/꼼꼼함(71)/신뢰성(61)
흥미관습형(Conventional)(93)/사회형(Social)(47)
직업가치관애국(92)/인정(82)/지적 추구(79)/고용안정(79)/타인에 대한 영향(66)
업무활동 중요도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99)/정보의 의미 해석(98)/정보 작성, 기록(97)/정보 처리(97)/정보, 자료 분석(96)
업무활동 수준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96)/정보의 의미 해석(96)/정보, 자료 분석(95)/정보 처리(95)/정보 수집(94)
관련직업학예사
문화재보존원
사서
직무개요
  • 영구기록물이나 역사적 가치가 있는 기록물을 평가하고 편집하며, 기록물에 기초한 조사활동에 참여하고 기록물과 기록 자료의 안전한 보존을 감독한다.
수행직무
  • 정부기록물, 기업체의 회의록, 저명인사의 편지와 같은 사문서 등을 후손들에게 전하고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저술날짜, 저자, 원래의 편지수령인 등을 확인하여 분석한다.
  • 수납목록·색인·지침서·참고문헌해제·축소필름에 복사된 기록사본등과 같은 기록보관소가 사용할 참고 보조 자료와 서류기재사항들의 준비활동을 감독한다.
  • 조사·연구를 수행하는 정부기관·학자·언론인 및 기타 조사자들에게 정치·경제·군사·사회사적인 측면의 자료와 정보에 관해 조언한다.
  • 출판 또는 전시할 자료들을 주제에 관한 지식, 문학적인 표현, 신문·잡지 특유의 표현에 관한 지식, 그리고 발표와 전시방법에 관한 지식 등에 따라 선정·편집한다.
임금
행정부고위공무원 임금 정보
하위(25%) 중위 상위(25%)

3300만원

3626만원

3833 만원

직업만족도
  • 기록물관리사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3.1%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 향후 5년간 기록물관리사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록물관리사는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40조(기록물관리전문요원의 자격과 배치)에서 전문기록물관리기관은 전체 인원 중 4분의 1이상(4분의 1이 1인 미만일 때는 1인 이상)을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으로 배치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정보와 지식에 대한 가치가 증가하고 있는 지식정보화사회에서 기록물의 수집, 분석, 평가, 관리에 대한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또한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과거 기록물의 DB 구축 등 기록물 저장 및 관리 분야에도 관심이 증가하면서 이들의 업무영역이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각종 기업에서도 회사의 기록물을 정보화할 필요성을 점감하고 있다. 하지만 업무의 중요성과 관심은 증가하는데 비해 실제 고용이 발생하는 기관이나 기업의 수가 크게 확대되지 않고, 조직 내부에서도 전문 기록물관리사를 두기보다 유사 업무와 함께 병행하게 하는 경향이 있어 실질적인 대규모 고용 증가는 기대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 자료 출처 : 한국고용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