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IOP 모델을 활용한 한국어 신체 관용 표현 교육 방안 연구 : 영어권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A study on using the SIOP Model to teach Korean body idioms to intermediate learners with English backgrounds
학위논문
서울 : 한국외국어대학교, 2017
최아리
2017
-
생성형 인공지능 학습 도구를 활용한 영어 학습자의 이해 기능과 표현 기능의 교육 효과 및 인식 = The educational effects and perceptions of integrating generative AI tools in developing English learners’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abilities
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임지수
2025
-
Developing an EFL curriculum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environmental education = 한국 초등학생을 위한 영어-환경 통합교육 커리큘럼 개발
학위논문
Seoul : International Graduate School of English, 2015
Lee, Youngmin
2015
-
Developing a science-focused CLIL curriculum for Korean high school learners = 한국 고등학생을 위한 과학-영어 통합학습(CLIL) 교육과정 개발
학위논문
Seoul : International Graduate School of English, 2018
이은경
2018
-
The development of a phonemic awareness curriculum for the Korean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 = 한국 초등학교 영어 수업에서 활용할 음소인식 교육과정 개발
학위논문
서울 : International Graduate School of English, 2014
박샘
2014
-
Developing a supplementary reading curriculum for Korean EFL novice-level readers at middle school = 한국 중학교 EFL 읽기 초급자를 위한 영어 읽기 보충 교육과정 개발
학위논문
Seoul : International Graduate School of English, 2016
Lee, Eun-joo
2016
-
영어과 임용준비생들의 서답형 영어 쓰기 답안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비한 각 교육기관 교육과정의 효율성에 관한 인식 = A study on the awareness of examination for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s's writing answer sheet by preliminary teacher and efficacy of curriculum of each english educational ...
학위논문
서울 : 淑明女子大學校, 2016
오유진
2016
-
전공영어수업 참여 유무에 따른 외식조리교육서비스품질, 교육만족 및 전공몰입간의 관계 연구 : 대전W 외식조리대학 사례중심으로 = The effect on the culinary education quality, value, focus depth, for the practice in classes for major subjects taught in English : case study base on culinary ...
학위논문
대전 : 우송대학교, 2022
김현준
2022
-
융합영어교수법의 실재화 : 융합영어교수법 'JAHA'의 EFL 초등학생 대상의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 Substantializing a convergence method in English education : focusing on the case study of EFL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JAHA' method
학위논문
서울 : 동덕여자대학교, 2020
이자하
2020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문화 관련 활동 분석과 학습자의 인식 조사 :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비교를 통해 = An analysis of cultural activities in high school textbooks and perspectives of learners by comparing the textbooks of 2009 curriculum and 2015 curriculum and ...
학위논문
서울 : 한국외국어대학교, 2018
김미현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