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적장애 자녀를 둔 한 어머니의 상담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학위논문
서울 :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1
박소이
2021
-
자성적 글쓰기가 활용된 모래놀이상담에서의 유아교사 개성화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 Qualitative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individuation process in sandplay counseling utilizing self-reflective writing
학위논문
서울 :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4
조희순[1952-]
2014
-
노인 우울증에 대한 연구(기독교 상담학적 접근)
학위논문
광주 : 호남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1302
김진호
201302
-
여성폭력 피해자 보호·지원기관 상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전문직 정체성과 회복경험의 조절효과 = The moderating effect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recovery exper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of counselors of victims of violence against violence against women
학위논문
서울 : 서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2023
김애희
2023
-
연극치료 의식기법을 활용한 애도상담프로그램 개발과정 연구 : 우리나라 전통 상·장례의식을 기반으로 = Study on grief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using dramatherapy ritual techniques : focusing on Korean traditional funeral rites
학위논문
서울 :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1
정진영
2021
-
보호관찰 청소년의 재범방지를 위한 상담 = Counseling for the prevention of probation juvenile offenders
학위논문
부천 : 서울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12
김윤주
2012
-
청소년의 자살예방을 위한 긍정심리 상담 = Positive psychological counseling for youth suicide prevention
학위논문
부천 : 서울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12
이정아
2012
-
중년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Study on effectiveness of group counseling programs for increase of life quality of middle-aged women
학위논문
서울 :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6
이미숙
2016
-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을 중심으로 본 상담자의 이해
학위논문
서울 :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0
정승연
2020
-
성소수자의 소수자-되기를 위한 문학상담 : 들뢰즈(Deleuze)와 가타리(Guattari)의 ‘소수자-되기’를 중심으로 한 연구 = Literary counseling for devenir-minoritaire(becoming-minorities) of LGBTQI : a research focusing on ‘devenir-minoritaire’ of Deleuze and Guattari
학위논문
서울 :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2
성아라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