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리상담의 신뢰성과 활용성 및 명리상담가에 대한 인식조사 =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utilization of Myeongri counseling and the awareness investigation about Myeongri counselor
				
				
					학위논문 
					충남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22 
					최지영 
					2022
				
				
			 - 
				
					진로상담자의 비대면 상담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non-face-to-face counseling experience of career counselors
				
				
					학위논문 
					인천 : 경인교육대학교, 2022 
					남궁미희 
					2022
				
				
			 - 
				
					초심상담자의 전문직 정체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상담자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identity and burnout of beginning counselor : mediating effects of counselor’s self-efficacy
				
				
					학위논문 
					광주 : 광주대학교, 2022 
					정현숙 
					2022
				
				
			 - 
				
					초심상담자의 성격강점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상담자활동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직무소진의 차이 = Difference between 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job burnout according to latent profile analysis of novice counselors’ character strengths
				
				
					학위논문 
					서울 : 광운대학교, 2022 
					신소라 
					2022
				
				
			 - 
				
					가사상담위원의 재판이혼 상담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학위논문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2020 
					허주연 
					2020
				
				
			 - 
				
					공공 상담기관 청소년상담자의 역할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 : 내재적 동기로 조절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 Relationship between role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youth counselors in public counseling institutions : the mediation effect of burnout moderated by intrinsic motivation
				
				
					학위논문 
					서울 : 광운대학교, 2020 
					박호용[] 
					2020
				
				
			 - 
				
					초심 상담자의 채팅상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Phenomenological study on chat counseling experiences of novice counselors
				
				
					학위논문 
					공주 : 공주교육대학교, 2020 
					김지은 
					2020
				
				
			 - 
				
					대학상담자가 경험하는 진로상담 수행의 어려움 : 근거이론적 접근 = Difficulties of college counselor's experience in career counseling : grounded theory approach
				
				
					학위논문 
					천안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20 
					황부순 
					2020
				
				
			 - 
				
					기독상담자가 경험하는 이혼 전(前) 상담의 가치관 재구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학위논문 
					부천 : 서울신학대학교, 2018 
					심정흠 
					2018
				
				
			 - 
				
					또래상담활동이 또래상담자의 공감 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eer counseling on peer counselor's empathic 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
				
				
					학위논문 
					용인 : 강남대학교, 2017 
					박경아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