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성적 글쓰기가 활용된 모래놀이상담에서의 유아교사 개성화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individuation process in sandplay counseling utilizing self-reflective writing
학위논문
서울 :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40717
조희순
20140717
-
청소년 상담에서 내담자의 상담기대, 작업동맹, 상담자 발달수준이 상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client expectation, working alliance and counsellor developmental level on counselling satisfaction in adolescent counselling
학위논문
서울 :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5
최정호
2015
-
여성상담자의 전화상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청소년전화 1388 상담을 중심으로 = A phenomenological study of female counselors’ experiences of telephone counseling : focused on youth call 1388
학위논문
서울 :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3
이정희
2023
-
초심상담자의 상담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장기상담을 중심으로 = A narrative inquiry of novice counselor’s counseling experience : focusing on long-term counseling
학위논문
서울 :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6
은승희
2016
-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상담 자격증 취득 과정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A grounded theory study on the process of acquiring counseling credentials in graduate students in the school of counseling
학위논문
서울 :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3
이예진
2023
-
상담자의 외상 경험이 상담자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심리화와 교육분석, 수퍼비전의 순차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counselor’s traumatic experience on counselor’s self-efficacy :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focused of mentalization, educational analysis and supervision
학위논문
서울 :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8
이명희
2018
-
상담자와 청소년 내담자의 작업동맹이 상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검증 = The effect of counselor's and adolescent client's working alliance on clint satisfaction questionnaire :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analysis
학위논문
서울 :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6
최현정
2016
-
문학상담 집단프로그램 참여 및 진행 경험에 관한 문학상담 전공자의 성찰적 자문화기술지
학위논문
서울 :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0
정은진
2020
-
초심상담자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상담자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조절효과 = The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ion relation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ovice counselor’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counselor self-efficacy
학위논문
서울 :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7
지인구
2017
-
EAP상담자의 개인상담 수행 준거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학위논문
서울 :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1
권서은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