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드라마 사례를 이용한 TA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TA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drama cases on middle school students' communication
학위논문
공주 :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08
이명진
201408
-
주관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목회상담학적 연구 : 긍정심리학을 중심으로 = A study of pastoral counseling on improving a subjective well-being : Positive psychology
학위논문
오산 :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3
김은총
2013
-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초등학교 집단상담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A meta analysis about group counseling for improvement of self-estee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학위논문
부산 :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11
최신영
201211
-
장자의 ‘성심(成心)초월’과 여성주의상담 원리의 상관성 연구 =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chuang-tzu's ‘sungshim’ transcendence and feminist counseling principal
학위논문
서울 :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1401
고은희
201401
-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상담욕구 = Life satisfaction and counseling needs of the aged according to demographic transition
학위논문
전주 :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12
최순자
201312
-
소방공무원의 심리상태 분석 및 YET-심리상담 시스템 = Analysis on psychological state of fire fighters and the YET-psychological counseling system : Focus on rescue worker
학위논문
서울 : 동방대학원대학교, 201308
유의태[1958-]
201308
-
인지왜곡으로서의 평가적 신념에 대한 이해와 기독교상담 방안 = Understanding on the evaluative belief as recognitive distortion and christian counseling
학위논문
안양 : 성결대학교 성결신학대학원, 201212
조영란
201212
-
신체화 증상 유무에 따른 중학생의 보건실 이용 실태 및 상담요구분석 = The use of school health care and analysis of counselling requir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somatization symptoms and those who do not
학위논문
서울 :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08
김정은
201308
-
상담자가 지각한 내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이 상담자의 상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상담목표 구체성과 상담자 몰입의 이중매개 효과 = The influence of client’s problem clarity on counselor-rated counseling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goal specificity and counselor's flow
학위논문
용인 : 강남대학교, 2022
박은희
2022
-
비대면 화상상담에서 마스크 착용 여부에 따른 내담자의 지각된 공감, 상담자평가, 상담회기평가의 차이 : 초기진로상담을 중심으로 = Differences in client-perceived empathy, counselor evaluation, and counseling session evaluation by wearing a face mask in non-face-to-face video counseling : focused ...
학위논문
천안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22
신은주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