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연구원

요약
하는일인간의 행동과 심리과정을 비롯하여 의학·교육·산업 등의 분야에서 심리적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되는길심리학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심리학과에 진학하여 석사학위 이상의 학력을 소지해야 한다. 석·박사 학위과정에 진학하면 세부적인 자신의 전공 분야를 선택하게 되는데 보통 향후 이와 관련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특히 사회과학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거나 연구보조원(RA)으로 근무해 다양한 연구경험을 쌓으면 유리하다.
전공심리학과
자격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4500만원, 평균(50%) 5698만원, 상위(25%) 6734만원
만족도74.7
일자리전망증가(43%) 현상유지(53%) 감소(3%)
업무수행능력듣고 이해하기(100)/가르치기(99)/글쓰기(99)/말하기(99)/행동조정(99)
지식심리(100)/상담(100)/사회와 인류(99)/철학과 신학(99)/교육 및 훈련(99)
업무환경앉아서 근무(91)/사람들과 직접 접촉(83)/외부 고객 대하기(82)/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강도(78)/의사결정 가능성(75)
성격정직성(91)/타인에 대한 배려(90)/신뢰성(86)/적응성/융통성(85)/분석적 사고(82)
흥미사회형(Social)(82)/탐구형(Investigative)(77)
직업가치관타인에 대한 영향(97)/심신의 안녕(96)/지적 추구(96)/이타(96)/경제적 보상(93)
업무활동 중요도사람들을 배려, 돌봄(99)/대인관계 유지(95)/정보의 의미 해석(95)/정보 처리(94)/정보, 자료 분석(94)
업무활동 수준사람들을 배려, 돌봄(99)/정보의 의미 해석(98)/대인관계 유지(98)/정보, 자료 분석(96)/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96)
관련직업철학연구원
역사학연구원
언어학연구원
교육학연구원
정치학연구원
경제학연구원
사회학연구원
직무개요
  • 인간의 행동과 심리과정을 비롯하여 의학·교육·산업 등의 분야에서 심리적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수행직무
  • 인간의 행동과 심리과정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기반으로 각종 상담 및 심리검사를 개발하고 실시한다.
  • 개인의 정신이나 행동장애를 진단하고 치료한다.
  • 형질유전의 결과, 환경 및 개인의 사상과 행동에 관한 기타 요소를 분석한다.
  • 지능, 적성, 인성 및 기타 인간의 성격을 측정하는 검사를 개발하고 시행한다.
  • 심리학적 문제, 아동의 사회발전, 직업상담, 교육 등의 분야에서 심리학적 이론의 응용을 전문으로 하기도 한다.
임금
행정부고위공무원 임금 정보
하위(25%) 중위 상위(25%)

4500만원

5698만원

6734 만원

직업만족도
  • 심리학연구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4.7%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 향후 5년간 심리학연구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심리학연구원을 포함하는 사회과학연구원은 2015년 약 11.0천 명에서 2025년 약 13.7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2.7천 명(연평균 2.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에 따르면 인문학 및 사회과학 연구개발업체의 수는 2006년 630개소에서 2015년 1,476개소로 57.3% 증가하였고, 동기간 종사자 수는 9,694명에서 20,858명으로 53.5% 증가하였다. 최근들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기술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인지심리학 전공자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인사선발과정에서 공정성이 중요해지면서 기업이나 컨설팅업체, 정신보건 관련 기관 등에서 심리검사와 같은 심리학적 도구를 사용하는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임원급의 선발, 배치, 승진 등을 위하여 객관적 역량평가를 실시하는 평가센터(assessment center)를 직접 운영하거나 재직자의 이직 및 전직 서비스와 같은 인사컨설팅, 청소년의 경력개발을 담당하는 심리학연구원의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기업체의 인재개발 부서에서는 재직자의 역량개발을 위한 교육 및 훈련 담당자로 심리학연구원을 선호하고 있다.
※ 자료 출처 : 한국고용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