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공학기술자

요약
하는일항공공학적 원리(공기역학·추진·구조·안정성·제어)와 기술을 적용하여 항공기를 설계·개발·시험한다.
되는길항공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대학교 및 전문대학의 관련학과를 졸업하고 항공사, 공항공단 등에 취업한 후에 사내 직무교육을 통해 정비, 검사, 항법교육 등의 교육을 받아야 한다. 그 외에 고등학교 졸업자로서 국내 민간항공사에서 운영하는 사내정비직업훈련원이나 그 밖의 항공정비관련 직업훈련기관에서 기술을 배우고 항공사에 취업하여 고등 기술을 습득할 수도 있다. 우주산업을 포함하는 항공기에 사용되는 기술이 계속 발전하므로 새로운 기술 습득과 끊임없는 자기계발 노력이 필요하며, 영어 등의 외국어 소통능력은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한다.
전공기계공학과
메카트로닉스(기전)공학과
반도체·세라믹공학과
항공학과
자격항공기관기술사(국가기술)
항공기관정비기능사(국가기술)
항공기체기술사(국가기술)
항공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항공장비정비기능사(국가기술)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4400만원, 평균(50%) 5450만원, 상위(25%) 6500만원
만족도77.1
일자리전망증가(36%) 현상유지(50%) 감소(13%)
업무수행능력조직체계의 분석 및 평가(98)/기술 설계(97)/기술 분석(95)/설치(94)/장비의 유지(93)
지식공학과 기술(100)/물리(100)/산수와 수학(99)/기계(98)/컴퓨터와 전자공학(97)
업무환경이메일 이용하기(85)/앉아서 근무(81)/연설, 발표, 회의하기(78)/실내 근무(72)/재택근무(67)
성격분석적 사고(97)/신뢰성(94)/꼼꼼함(88)/혁신(86)/리더십(79)
흥미탐구형(Investigative)(74)/관습형(Conventional)(65)
직업가치관심신의 안녕(90)/애국(90)/지적 추구(75)/경제적 보상(72)/다양성(72)
업무활동 중요도전자장비 유지 보수(100)/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9)/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99)/팀 구성, 협업 촉진(98)/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98)
업무활동 수준전자장비 유지 보수(100)/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9)/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99)/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99)/팀 구성, 협업 촉진(99)
관련직업건설기계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플랜트기계공학기술자
자동차공학기술자
조선·해양공학기술자
로봇공학기술자
기계시험원
직무개요
  • 항공공학적 원리(공기역학·추진·구조·안정성·제어)와 기술을 적용하여 항공기를 설계·개발·시험한다.
수행직무
  • 일반 항공기나 특수목적의 항공기 또는 기타 관련된 항공기를 초기설계 한다.
  • 비행체 원형(原型)을 제작·시험한다.
  • 항공기 기체 구성품(날개, 동체, 착륙장치, 조종시스템 등)의 설계·개발을 전문으로 하기도 한다.
  • 항공사에서 장비의 구입·보수·운용에 관한 기술적 업무를 수행하기도 한다.
임금
행정부고위공무원 임금 정보
하위(25%) 중위 상위(25%)

4400만원

5450만원

6500 만원

직업만족도
  • 항공공학기술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7.1%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 향후 5년간 항공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전망이다. 기계공학 분야는 세계 경제상황에 영향을 크게 받는 구조라 할 수 있는데, 향후 전세계적인 경기침체로 여전한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기계산업은 제조업 전 분야를 포함하여 다른 산업들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우리나라 경제성장에 기여하여 왔다. 우리나라의 기계 관련 수주액이 증가하고, 해외 수요부분도 증가하는 등 산업이 성장하고 사업체 및 종사자 수도 꾸준히 증가세를 이어왔다고 할 수 있다. 항공산업 역시 기계 및 정보통신 산업 등 첨단기술이 융복합된 산업으로 높은 생산유발 효과, 고부가가치 및 고임금의 선진국형 지식기반산업으로 성장해왔고, 지난 20년간 우리나라 항공수송 실적은 10배 이상 성장하였으며 대형 민간기의 국제 공동개발 참여 확대, 민수부품의 수출촉진, 국산 다목적 헬기 수리온 개발 및 소방ㆍ의무(구급)ㆍ방제 헬기 수요증가 등 정부 정책과 함께 세계 항공기 시장의 성장은 국내 항공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유도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항공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의 수요도 꾸준히 유지될 전망이다.
※ 자료 출처 : 한국고용정보원